TileMapLayer란?
Section titled “TileMapLayer란?”2D 게임에서 타일맵을 사용하여 맵을 구성할 때, 여러 레이어를 활용하여 다양한 시각적 효과와 기능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Godot 4에서는 TileMapLayer를 통해 이러한 레이어를 쉽게 관리할 수 있습니다.
TileMapLayer는 각 레이어에 대해 독립적인 타일맵을 생성하고 조작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배경, 중간 배경, 전경 등 다양한 레이어를 구성하여 게임의 깊이감을 높일 수 있습니다.
물론 배경은 ParallaxBackground 노드를 사용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바닥에 타일을 생성하는것 뿐만 아니라, collision등을 추가할수도 있고, 애니메이션이 포함된 타일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심지어 상호작용할 오브젝트도 타일맵으로 생성할 수 있습니다. 일반 노드를 사용하는것 보단 복잡할 수도 있겠지만,
단순히 부숴지는 블럭이라던지, 이런것들을 배치할땐 타일맵이 유리할 수 있습니다.
먼저 씬에 TileMapLayer 노드를 추가해야 합니다. 사용하고싶은 레이어가 많다면 여러개 추가하면 됩니다.
각 TileMapLayer 노드에는 타일셋을 설정할 수 있는 옵션이 있습니다. 타일셋은 타일맵에서 사용할 타일들의 모음을 정의합니다.
타일셋은 TileMapLayer 노드와 독립적입니다. 즉, 여러 TileMapLayer 노드가 동일한 타일셋을 공유할 수 있고,
각 레이어마다 다른 타일셋을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collision 등의 physics와 같은 속성은 타일셋에서 정의합니다
타일셋을 설정한 후, 타일맵 에디터를 사용하여 각 레이어에 타일을 배치할 수 있습니다.
특정 타일에 collision을 추가하려면, 타일셋에서 미리 physics layer를 추가한 이후,
타일맵 에디터에서 Select탭을 선택하고, 원하는 타일을 선택한 후, physics를 선택하면
아까 타일셋 physics layer가 보일겁니다. 그걸 선택하면 해당 타일에 collision을 편집하고 추가할 수 있습니다.
그 외에도 다양한 기능들이 있으니, 공식 문서나 튜토리얼을 참고하여 TileMapLayer를 활용한 멋진 2D 게임 맵을 만들어보세요!
특히 auto tile 기능을 꼭 확인하세요! 가장자리나 모서리 타일을 자동으로 배치해주는 기능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