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연히 크롬 기준..
CachingChrome employs two caches — an on-disk cache and a very fast in-memory cache.The lifetime of an in-memory cache is attached to the lifetime of a render process,which roughly corresponds to a tab.Requests that are answered from the in-memory cache are invisible to the web request API.If a request handler changes its behavior (for example, the behavior according to which requests are blocked),a simple page refresh might not respect this changed behavior.To make sure the behavior change goes through,call handlerBehaviorChanged() to flush the in-memory cache.But don't do it often; flushing the cache is a very expensive operation.You don't need to call handlerBehaviorChanged() after registering or unregistering an event listener.구글 번역의 도움을 받으면..
캐싱Chrome은 온 디스크 캐시와 매우 빠른 인 메모리 캐시라는 두 가지 캐시를 사용합니다.인 메모리 캐시의 수명은 렌더링 프로세스의 수명에 연결되며 이는 대략 탭에 해당합니다.인 메모리 캐시에서 응답 한 요청은 웹 요청 API에 표시되지 않습니다.요청 처리기가 동작을 변경하면 (예: 요청이 차단 된 동작)간단한 페이지 새로 고침으로 인해 변경된 동작을 고려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동작 변경을 확인하려면 handlerBehaviorChanged ()를 호출하여 메모리 내 캐시를 플러시하십시오.그러나 자주하지 마십시오.캐시 플러시는 비용이 많이 드는 작업입니다.이벤트 리스너를 등록 또는 등록 해제 한 후handlerBehaviorChanged()를 호출 할 필요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