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ontend Developer
Section titled “Frontend Developer”강점을 최대한 살려 효율적인 성과를 내는 데 집중합니다.
솔직하고 능동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협업의 시너지를 만드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글로벌 환경에서의 협업을 위해 영어 실력을 지속적으로 향상시키고 있습니다.
책임감이 보장된 자율적인 환경에서 높은 몰입도로 일합니다.
비용과 효율을 함께 고려한 합리적인 엔지니어링을 지향합니다.
제한된 일정 속에서도 품질과 생산성의 균형을 중시합니다.
완벽한 코드보다 비즈니스 목표에 맞는 현실적인 엔지니어링을 추구합니다.
Contact
Section titled “Contact”Career
Section titled “Career”휴식중 (2023.05 ~ )
Section titled “휴식중 (2023.05 ~ )”- 낭만 가득한 인디게임 개발 중
- Godot4
카카오스타일
Section titled “카카오스타일”- 기간: 2022.09.13 ~ 2023.05.12
- 소속: 커머스플랫폼FE(주문, 결제) / 사원
기존 서비스&기능 개선 및 버그 수정
Section titled “기존 서비스&기능 개선 및 버그 수정”- 결제수단 저장안되는 버그 수정
- 결제수단 미노출 버그 수정
- 결제 실패시 주문서로 재이동하는 로직 개선(기존 history.back)
- 간헐적 백화현상 원인 파악 및 수정
- 스토리북 추가를 위한 컴포넌트 리팩토링&개선
- 파트너센터 판매채널 hover 툴팁 추가
지그재그 - 기본배송지 개선
Section titled “지그재그 - 기본배송지 개선”- react, ts, hook API
- 기본배송지 미설정으로 인해 결제시 사용자이탈 가능성이 있음
- 기본배송지 미설정시 기본배송지 설정페이지로 자연스럽게 이동시켜 사용자가 기본배송지를 설정하도록 유도
지그재그 - 한국 편의점 결제
Section titled “지그재그 - 한국 편의점 결제”- react, ts, hook API
- 12자리 수납번호로 클라이언트에서 바코드를 생성하여 결제하는 기능
- 결제가 어려운 10대들을 위한 결제수단 추가
지그재그 - 일본 편의점 결제 non-ui 전환
Section titled “지그재그 - 일본 편의점 결제 non-ui 전환”- react, ts, hook API
- 글로벌 일본 편의점 결제 편의성 개선
- 타 서비스(엑심베이)로 이동하여 휴대폰번호와 이메일 주소를 유저가 직접 입력해야했는데, 페이지 이동 없이 사용자 정보를 가져와 input field에 자동으로 입력
- 결제시 사용자 불편함을 개선하여 결제유도
지그재그 파트너센터 - 멀티스토어 정산 통합 관리
Section titled “지그재그 파트너센터 - 멀티스토어 정산 통합 관리”- react, ts, hook API
- 부모 스토어에서 정산을 통합으로 관리하는 기능 추가
지그재그 백오피스 - 멤버십 쿠폰팩
Section titled “지그재그 백오피스 - 멤버십 쿠폰팩”- react, ts, hook API
- 지그재그 멤버십 혜택으로 멤버십 쿠폰팩을 발급 & 관리하는 기능 추가
- 기존 쿠폰팩 생성에 멤버십 타입 추가
- 멤버십 쿠폰팩을 조회하고 수정 & 삭제하는 관리페이지 추가
- 백오피스 최초의(ㅎㅎ) FE 테스트코드 추가
- 기간: 2019.11.25 ~ 2022.09.06
- 소속: FE개발2팀 / 사원
- Preact, Typescript, hook API, context API
- 검색창 (예약 키워드 검색 포워딩, 검색창 텍스트 광고)
- 실시간 쇼핑 검색어 (애니메이션, 레이어)
- GNB, main 공통 모듈
아마존 상품상세 모바일 페이지
Section titled “아마존 상품상세 모바일 페이지”- Preact, Typescript, hook API, context API
- 모바일 앱 일부분(각종 팝업과 상품설명, Q&A, 판매자정보)을 웹뷰로 구현
- 컴포넌트를 독립적으로 또 다른 window로 띄울 수 있도록 설계 - 팝업, 웹뷰로 활용
- 웹뷰를 호출할 때 필요없는 API는 호출하지 않도록 설계
- 옵션 변경시 변경된 상품번호로 API만 재호출하여 페이지 일부분만 갱신
- 처음 도입하는 FE test code - ui는 테스트하지않고, 비즈니스 로직만 테스트
(주)인데이터랩
Section titled “(주)인데이터랩”- 기간: 2018.10.01 ~ 2019.10.11
- 직급: 임원
- 역할: 기획, FE 리딩, BE 개발
- 기술: Vue, React, node.js, aws ec2, s3, dynamoDB, next.js
MOQA 관리자 페이지
Section titled “MOQA 관리자 페이지”- Vue
- 리워드 설문 작성 기능
- 작성한 설문 미리보기 & 테스트, 공유 기능
- 회원관리, 공지사항 등의 게시판
- 대시보드와 차트
MOQA 앱 튜토리얼
Section titled “MOQA 앱 튜토리얼”- React
- MOQA앱의 튜토리얼 웹뷰 구현
- 객관식 선택과 애니메이션 구현
폐업으로 인한 강제 이직
React, Vue
Section titled “React, Vue”- SPA 뿐만 아니라 프로젝트 일부분에 점진적으로 도입해본 경험이 있습니다.
- 함수형 컴포넌트로 개발하는것을 좋아하며, custom hook으로 공통 비즈니스 로직을 모듈화할 수 있습니다.
- ssr에 대해 잘 이해하고 있습니다.
Typescript
Section titled “Typescript”- React + ts 실무 개발 경험이 있습니다. (11st~)
- unit test, react hook test, component test, snapshot test 경험이 있습니다.
- 프론트엔드뿐만 아니라 백엔드 어플리케이션을 개발 경험이 있습니다. (express)
DevOps
Section titled “DevOps”- gcp, aws (ec2, s3, dynamoDB, NLB 등등..) 경험이 있습니다.
- 프론트 어플리케이션 배포를 위한 nginx, pm2 경험이 있습니다.
- 서버 (on-premise and public cloud) 구성부터 애플리케이션 배포까지 경험이 있습니다.
### react-native
- 하고 싶진 않지만 react-native 개발 경험 있습니다. (안드로이드 배포까지)
### project cooperation tools
- 협업을 위한 git, jira, wiki, slack, discord 등 툴 활용
Open Source Contribute
Section titled “Open Source Contribute”아직 오픈소스 기여 경험이라고 소개하긴 조금 민망한 수준이지만 ^^;;